The moment you realized beer is not what you think it is

Hutch • September 10, 2025

Share this article

From Disgust to Discovery: My Beer Epiphany

맥주가 당신이 생각하는 것과 다르다는 것을 깨달은 순간!

혐오에서 발견으로: 맥주에 대한 나의 깨달음
Miller Highlife
My Journey Into Beer

Growing up in the U.S. in the 1980s, the beer world as I knew it was extremely singular. Beer meant one thing: the cheapest adjunct lager you could find. And if you were a hardcore all-day drinker who still needed to stay functional, it was a light adjunct lager.


I remember watching Sunday football with my dad, seeing the commercials for Hamm’s, Old Milwaukee, Milwaukee’s Best, High Life, Michelob, Schlitz, Miller, and of course Budweiser along with all the other light variants. At the end of the day, they were all basically the same style of beer.


When my friends and I snuck our first sip around 1988—we were about 13 or 14 years old—the reaction was unanimous: absolute disgust. I couldn’t understand how our parents could drink such a foul liquid. That one taste was enough to turn me off beer for years. In fact, I basically turned my back on alcohol altogether until well into my 20s.


It wasn’t until my first job out of college, when I began traveling abroad, that alcohol came back into the picture. My first assignment was in Italy in the late 1990s, where wine was cheaper than water. At business dinners, it was expected that I go with the flow, and that’s when I acquired a taste for red wine.

But my next assignment, in Asia, changed everything again. There, business dinners were a different beast. Keeping up with colleagues over endless pours of red wine was instant death. By my second dinner—after being completely destroyed—my boss pulled me aside and strongly suggested that I “learn to like beer.”


Beer, Take Two

Some 12 years after that fateful first sip of Milwaukee’s Best, I gave beer another chance. I powered my way through Qingdao in Shanghai and Taiwan Beer in Taipei. Manageable, sure—it kept me from getting completely ill—but enjoyable? Not at all. Slightly better than an American mass-produced adjunct, but not by much.


맥주 속으로의 여정

1980년대 미국에서 자라면서 제가 아는 맥주 세계는 매우 독특했습니다. 맥주는 단 하나의 의미, 즉 가장 싼 맥주를 뜻했습니다. 하루 종일 술을 마시면서도 건강을 유지해야 하는 사람이라면 가벼운 맥주를 선호했습니다.


아버지와 함께 일요일에 미식축구 경기를 보던 기억이 납니다. Hamm's, Old Milwaukee, Milwaukee's Best, High Life, Michelob, Schlitz, Miller, 그리고 물론 Budweiser를 비롯한 다양한 가벼운 맥주 광고를 보곤 했습니다. 결국, 그 맥주들은 모두 기본적으로 같은 스타일의 맥주였습니다.


1988년쯤, 당시 열세 살이나 열네 살이었던 저는 친구들과 함께 처음으로 맥주를 한 모금 마셨는데, 모두의 반응은 하나같이 "완전히 역겹다"였습니다. 부모님이 어떻게 그렇게 역겨운 맥주를 마실 수 있는지 이해할 수 없었습니다. 그 한 번의 맛만으로도 몇 년 동안 맥주를 끊게 되었습니다. 사실, 저는 20대 후반까지 술에 완전히 등을 돌렸습니다.


대학 졸업 후 첫 직장에 취직하고 해외 여행을 시작하면서야 술이 다시금 주목을 받기 시작했습니다. 첫 근무지는 1990년대 후반 이탈리아였는데, 와인이 물보다 저렴했습니다. 비즈니스 만찬에서는 술의 흐름에 몸을 맡겨야 했고, 그때 레드 와인의 맛을 알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아시아에서의 다음 근무는 모든 것을 다시 한번 바꿔놓았습니다. 그곳에서 비즈니스 만찬은 완전히 다른 차원의 것이었습니다. 동료들과 레드 와인을 끝없이 마시며 시간을 보내는 것은 죽음과 같았습니다. 완전히 망가진 후 두 번째 만찬을 했을 때, 상사는 저를 따로 불러 "맥주를 좋아하게 되라"고 강력하게 권했습니다.


맥주, 두 번째 시도

밀워키스 베스트의 운명적인 첫 모금을 마신 지 약 12년 후, 저는 다시 한번 맥주를 마셔보았습니다. 상하이의 칭다오와 타이베이의 타이완 맥주를 힘겹게 마셨습니다. 물론 견딜 만했습니다. 완전히 병들지는 않았지만요. 하지만 즐거웠을까요? 전혀 아니었습니다. 미국에서 대량 생산된 보조제보다 약간 나았지만, 크게 다르지는 않습니다.

Taiwan Beer

Later that year, at a dinner event in Munich, I had no idea what was about to happen. When the waitress asked what I wanted to drink, I said simply, “Beer.” She shot back, “Pils oder Weizen?” My colleague leaned over and whispered, “Pils is bitter. Weizen is not.” Naturally, I chose Weizen.

And my mind was blown.


I had never in my life experienced such complex flavors, such genuine enjoyment, from any alcoholic beverage—let alone beer, which up to that point I had considered nothing more than a necessary evil at business dinners. I was hooked. For the first time, I started ordering beer outside of work events. Back in the U.S., Hoegaarden and Blue Moon were the closest I could find to what I had tasted in Germany. That one experience completely reshaped my drinking life. I was no longer afraid of beer.


The Epiphany

The following year, I returned to Germany for a business meeting. I shared my newfound love for Weizen with a colleague, who smiled slyly and said, “Okay, if you’re done being beer-ignorant, let me introduce you to Pils.”


그해 말, 뮌헨에서 열린 만찬 행사에서 저는 앞으로 무슨 일이 벌어질지 전혀 예상하지 못했습니다. 웨이트리스가 뭘 마시고 싶은지 묻자 저는 간단히 "맥주"라고 대답했습니다. 그녀는 "필스 아니면 바이젠?"이라고 되물었습니다. 동료가 몸을 숙이며 속삭였습니다. "필스는 쓰지만 바이젠은 그렇지 않아요." 당연히 저는 바이젠을 선택했습니다.


그리고 저는 완전히 매료되었습니다.


살면서 어떤 술에서도 이렇게 복합적인 맛과 진정한 즐거움을 느껴본 적이 없었습니다. 그때까지만 해도 맥주는 비즈니스 만찬에서 필수불가결한 것으로 여겼는데 말이죠. 저는 완전히 매료되었습니다. 처음으로 회사 행사가 아닌 곳에서 맥주를 주문하기 시작했습니다. 미국에 돌아왔을 때, 호가든과 블루문은 제가 독일에서 맛본 맥주와 가장 비슷한 맥주였습니다. 그 경험은 제 음주 생활을 완전히 바꿔놓았습니다. 더 이상 맥주를 두려워하지 않게 되었습니다.


깨달음

그 다음 해, 저는 비즈니스 미팅을 위해 독일로 돌아갔습니다. 저는 바이젠에 대한 새로운 사랑을 동료에게 전했고, 그는 교활하게 미소 지으며 "좋아요, 맥주에 대해 더 이상 모른다면 제가 필스너를 소개해 드릴게요."라고 말했습니다.

Jever German Pilsner

That was the true turning point. My first authentic German Pilsner revealed what beer was supposed to be—the crispness, the balance, the flavor. I finally understood what the world had been chasing and trying to imitate, and why most attempts fell flat. In that moment, my fear of beer vanished, and my real beer journey began.


Where We Are Now

Fast forward 25 years, and it’s incredible to see how far beer has come globally. Quality beer is now widely available in places I never would have imagined back in the 80s and 90s.

That’s why I get excited when I meet people who still say, “I don’t like beer.” Usually, what they mean is that they’ve only ever tried mass-market adjunct lagers—the same ones that nearly turned me off forever. I love telling them my story, and sometimes, I even get to help them overcome that bad first impression and discover what beer can truly be.

Because once you find that beer—the one that opens your eyes—you realize it’s not just a drink. It’s an experience.


그것이 진정한 전환점이었습니다. 제가 처음 마신 정통 독일 필스너는 맥주가 무엇인지, 즉 상쾌함, 균형감, 풍미를 보여주었습니다. 세상이 무엇을 쫓고 모방하려 했는지, 그리고 왜 대부분의 시도가 실패로 돌아갔는지 마침내 이해하게 되었습니다. 그 순간, 맥주에 대한 두려움은 사라졌고, 진정한 맥주 여정이 시작되었습니다.


우리의 현재

25년이 흐른 지금, 맥주가 전 세계적으로 얼마나 발전했는지 놀랍습니다. 80년대와 90년대에는 상상도 못 했던 곳에서도 고품질 맥주를 쉽게 구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아직도 "맥주 싫어"라고 말하는 사람들을 만날 때면 설레는 마음이 듭니다. 보통 그들은 시중에 파는 보조 맥주만 마셔봤다고 말합니다. 제가 평생 싫어했던 바로 그 맥주 말입니다. 저는 그들에게 제 이야기를 들려주는 것을 좋아합니다. 때로는 그들이 그 나쁜 첫인상을 극복하고 진정한 맥주의 진수를 발견하도록 돕기도 합니다.


눈을 뜨게 하는 그 맥주를 발견하면, 그것이 단순한 음료가 아니라는 걸 깨닫게 되죠. 하나의 경험입니다.



Recent Posts

By BeerPhobeNerd September 30, 2025
Discover the best Korean craft beers in 2025. From Gorilla and Art Monster to The Table Brewing Company and White Crow, explore Korea’s top-rated beers and breweries.
Beer Tasting
By BeerPhobeNerd September 29, 2025
Discover the best Busan beer bars, breweries, and Korea’s growing craft beer scene. Explore top spots, local favorites, and tips for beer lovers visiting Busan.
Belgian Beer
By BeerPhobeNerd September 24, 2025
Rethinking What It Means to Be the ‘Beer Capital of the World’: From Belgium to Japan, UK to USA, A Journey Through Beer’s Many Capitals Celebrating the Diversity of Beer Culture Across Continents
Korean Craft Beer
By BeerPhobeNerd September 13, 2025
Beer Balance and the Exposure Triangle: ABV, SRM, and IBU
Beer Food Pairing
By BeerPhobeNerd September 13, 2025
From buffalo wings to hotpot, roasted lamb to chocolate cake, discover how craft beer pairing works across cultures—and why sometimes the best pairing is no pairing at all.  페일 에일, IPA, 스타우트와 어울리는 맛을 찾아보세요. 그리고 때로는 음식을 전혀 먹지 않고 즐기는 게 수제 맥주를 즐기는 가장 좋은 방법인 이유도 알아보세요. 버팔로 윙부터 핫팟, 구운 양고기부터 초콜릿 케이크까지, 다양한 문화권에서 수제 맥주 페어링이 어떻게 적용되는지 알아보세요. 그리고 때로는 최고의 페어링이 아예 없는 경우도 있다는 사실도 알아보세요.
Craft Beer Korean Food
By BeerPhobeNerd September 11, 2025
Busan’s Craft Beer Scene: Small but Bursting with Flavor 부산 수제 맥주 시장: 작지만 풍미로 가득한 세계 
German Beer
By BeerPhobeNerd September 11, 2025
Same Beer, Different Package, Same Taste??? Why Packaging Matters! 같은 맥주, 다른 포장, 같은 맛??? 왜 포장이 중요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