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usan’s Craft Beer Scene

BeerPhobeNerd • September 11, 2025

Share this article

Busan’s Craft Beer Scene: Small but Bursting with Flavor

부산 수제 맥주 시장: 작지만 풍미로 가득한 세계

Craft Beer

Busan is a city that knows how to enjoy life. From sizzling street food, amazing BBQ and fresh seafood markets to beaches that stretch for miles, South Korea’s second-largest city is always buzzing. But when it comes to craft beer, Busan is still something of a hidden gem.


For a city of more than 3 million people, the craft beer scene is small—just a handful of breweries and fewer than twenty dedicated craft beer bars. Compared to global beer capitals, that might not sound like much. But look closer, and you’ll see a community that’s full of creativity, persistence, and passion.


부산은 삶을 즐길 줄 아는 도시다. 지글지글한 길거리 음식, 환상적인 바비큐와 신선한 해산물 시장, 끝없이 펼쳐진 해변까지, 한국 제2의 도시는 언제나 활기로 가득하다. 하지만 크래프트 맥주에 관해서는, 부산은 아직 숨겨진 보석 같은 곳이다.

3백만 명이 넘는 인구를 가진 도시에 크래프트 맥주 양조장은 손에 꼽을 정도, 크래프트 맥주 전문 바도 20곳이 채 되지 않는다. 세계적인 맥주 도시들과 비교하면 다소 부족해 보일 수 있다. 하지만 조금만 들여다보면, 창의성과 끈기, 그리고 열정으로 빚어진 커뮤니티가 있다는 걸 알게 된다.


Beer, the Korean Way

For decades, Korea’s beer culture has been shaped by giants like Hite, Cass, and OB. Their light, easy-drinking lagers dominate store shelves and company dinners. They’re designed for speed, for big groups, and for somaek (that classic mix of soju and beer). Sometimes it feels like beer is to soju what tonic is to gin: a faithful mixer, but not the main act.


Craft beer, on the other hand, is slower, bolder, and more individual—especially ales, which often stand on their own and whose strong flavors can sometimes clash with meals, running counter to how alcohol is usually consumed in Korea. That’s one reason it’s taken longer to gain traction here. But the breweries that have taken root in Busan are proving that there’s space for something different.


한국식 맥주 문화

수십 년 동안 한국의 맥주 문화는 하이트, 카스, OB 같은 대형 브랜드가 이끌어 왔다. 가볍고 쉽게 마실 수 있는 라거들이 편의점과 회식 자리를 장악했다. 빨리 빨리, 단체, 그리고 소맥을 위해 태어난 맥주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때로는 맥주가 소주에 곁들이는 탄산수 같은 존재처럼 느껴지기도 한다.

반면 크래프트 맥주는 느긋함, 더 대담하며, 더 개성이 강하다. 특히 에일은 개성있는 맛을 가진 경우가 많아 음식과 부딪히기도 한다. 이는 한국식 음주 문화와는 다소 차이가 있어 자리 잡는 데 시간이 걸렸다. 하지만 부산에서 뿌리내린 양조장들은 새로운 가능성을 증명하고 있다.


Bright Spots in Busan’s Craft Beer Scene

What Busan lacks in numbers, it makes up for in quality and diversity.

Each brewery here tells a story of persistence and pride.


  • Galmegi Brewing Co. – One of Busan’s first craft brewery, named after the city’s iconic seagulls. For nearly a decade, Galmegi has introduced locals and visitors to IPAs, ambers, and creative seasonal beers, helping pave the way for everyone else.
  • Gorilla Brewing Co. – Known for bold experiments like Tiramisu Stout and Raspberry Wheat, Gorilla also collaborates with breweries across Korea, proving craft beer thrives on community as much as creativity.
  • Turmbräu (툼브로이) – A German-style brewpub in Songjeong with roots tracing back to Bavaria. The owner brewer is a descendant of the family behind Turmbräu in Bavaria, and they brew according to family and historical standards such as the German purity law. Turmbräu offers crisp Helles and smooth Weizen, paired perfectly with bratwurst and schnitzel. Tradition, transported to Busan.
  • Wildcat Brewing Co. – Based in Seomyeon, Wildcat plays with local twists like yuzu and ginger lagers, alongside hop-forward IPAs. Their playful branding and cozy taproom have made them a favorite among locals and have been included in recent “Best of Busan” craft beer guides, reinforcing their status as one of the core breweries.
  • Wild Wave Brewing Co. – A smaller operation with adventurous flavors, from yuzu saisons to passionfruit-tinged wheat ales. Wild Wave shows that Busan can stand out with beers as vibrant as its beaches.


These brewers aren’t just making beer—they’re shaping a new identity for Busan.


부산 수제 맥주의 빛나는 주역들

부산은 숫자만큼은 부족하지만, 품질과 다양성으로 승부한다.
각 양조장은 끈기와 자부심의 이야기를 품고 있다.

  • 갈매기 브루잉(Galmegi Brewing Co.) – 부산의 대표적인 갈매기에서 이름을 따온, 부산 최초의 수제 양조장 중 하나. 10년 가까이 IPA, 앰버, 그리고 창의적인 시즌 한정 맥주를 선보이며 부산 수제 맥주의 길을 열었다.
  • 고릴라 브루잉(Gorilla Brewing Co.) – 티라미수 스타우트, 라즈베리 위트 같은 대담한 시도를 즐기는 곳. 한국 각지의 브루어리와 협업하며, 수제 맥주는 창의성뿐만 아니라 커뮤니티로 성장한다는 걸 보여준다.
  • 툼브로이(Turmbräu) – 송정에 자리한 독일식 브루펍. 뿌리는 바이에른까지 이어지며, 독일 순수령을 비롯한 전통 방식을 따르는 양조장이다. 크리스프한 헬레스와 부드러운 바이젠은 브라트부어스트, 슈니첼과 완벽한 조화를 이룬다. 전통이 부산에 전해진 셈이다.
  • 와일드캣 브루잉(Wildcat Brewing Co.) – 서면을 기반으로 유자·생강 라거, 홉 향 가득한 IPA 등 로컬 감각을 담아낸다. 아기자기한 브랜드와 아늑한 탭룸 덕분에 지역민들의 사랑을 받고 있으며, ‘부산 최고의 맥주집’ 가이드에도 꾸준히 포함되는 핵심 브루어리다.
  • 와일드 웨이브 브루잉(Wild Wave Brewing Co.) – 유자 세종, 패션프루트 밀맥주 등 모험적인 맛을 선보인다. 부산의 바다처럼 생동감 넘치는 맥주로 자신만의 색을 드러낸다.

이들의 맥주는 단순한 음료가 아니라, 부산의 새로운 정체성을 만들어가고 있다.


Why So Small?

There are reasons why Busan doesn’t yet have hundreds of breweries like some cities overseas of the same size or smaller. Craft beer here faces a few challenges:

  • Price: A pint of craft beer often costs two or three times more than a Cass, Terra or Hite, which makes it less practical for Korea’s group-oriented drinking culture.
  • Pace: Nights out in Busan are built around fast rounds of soju and lager. Craft beer, meant for sipping and savoring, doesn’t always fit that rhythm and the flavors are typically not as muted as light lagers.
  • Regulation: Until 2014, small breweries couldn’t even distribute outside their taprooms. Even today, taxes are high and convenience stores are dominated by the big brands.
  • Taste expectations: While younger drinkers are more adventurous, many still find IPAs too bitter or stouts too heavy. Their bold flavors—combined with common misconceptions about high calories—often create barriers.


왜 아직 작은가?

부산에 해외 도시처럼 수백 개의 양조장이 없는 데에는 이유가 있다.

  • 가격: 크래프트 맥주 한 잔 가격은 카스, 테라, 하이트의 두세 배에 달한다. 회식 중심의 한국 음주 문화에서는 부담이 된다.
  • 속도: 부산의 밤은 빠른 소주와 라거의 ‘원샷’ 리듬으로 흘러간다. 천천히 음미하는 크래프트 맥주는 여기에 잘 맞지 않는다.
  • 규제: 2014년 전까지 소규모 양조장은 탭룸 밖으로 유통조차 할 수 없었다. 지금도 세금은 높고 편의점은 대기업 맥주 일색이다.
  • 입맛 기대치: 젊은 층은 새로운 맛을 시도하는 편이지만, IPA는 너무 쓰고 스타우트는 너무 무겁다고 느끼는 이들이 많다. 칼로리에 대한 오해까지 더해져 진입 장벽이 생기기도 한다.



A Tale of Two Cities

To see the difference, compare Busan with Chicago—a city of about 2.7 million people, slightly smaller than Busan. Chicago has over 160 breweries and hundreds more craft beer bars and taprooms. Busan? Just a handful of breweries and fewer than twenty bars focused on craft.


The contrast doesn’t mean Busan is “behind.” It shows how beer culture grows differently depending on tradition, laws, and lifestyle. Chicago’s scene grew from decades of homebrewing and liberal laws. Busan’s is still young—but it’s building something uniquely its own.



두 도시 이야기

부산과 시카고를 비교해 보면 차이가 뚜렷하다. 인구 약 270만 명인 시카고에는 160개가 넘는 양조장과 수백 개의 수제 맥주 바가 있다. 반면 부산은 겨우 몇 개의 양조장과 20곳도 안 되는 전문 바뿐이다.

하지만 이는 부산이 뒤처졌다는 뜻이 아니다. 각 도시의 전통, 법규, 생활 방식이 맥주 문화를 다르게 만든다는 증거다. 시카고는 홈브루잉과 자유로운 법규 덕분에 커졌고, 부산은 아직 젊지만 자신만의 길을 걷고 있다.


The Road Ahead

And that’s the exciting part. Busan’s craft beer scene isn’t stagnant—it’s evolving. Koreans are traveling more, discovering beer cultures abroad, and returning with curiosity. Tourists are seeking local flavors. And Busan, with its beaches, seafood, and nightlife, has everything it needs to create a craft beer culture that feels authentically Korean and distinctly Busan.


앞으로의 길

그렇기에 부산의 수제 맥주 씬은 흥미롭다. 한국인들은 해외에서 다양한 맥주 문화를 접하고 돌아오며 호기심을 키우고 있다. 관광객은 로컬의 맛을 찾는다. 해변, 해산물, 밤문화를 가진 부산은 한국적이면서도 부산다운 수제 맥주 문화를 만들어갈 수 있는 완벽한 조건을 갖추고 있다.


Explore Busan’s Craft Beer Map

The best way to support Busan’s craft beer is simple: drink it. Each pint you order helps keep these passionate brewers brewing.

To make it easier, we’ve created a Busan Craft Beer Map—your guide to every brewery and bar in the city. Whether you’re a local looking for something new or a visitor exploring the seaside, this map will help you find Busan’s hidden gems and raise a glass to the people building this scene from the ground up.


부산 수제 맵을 따라가다

부산의 수제 맥주를 응원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마시는 것이다. 한 잔 한 잔이 양조가들의 열정을 이어가게 만든다. 그래서 준비했다. 부산 크래프트 맥주 지도. 이 지도를 따라가면 부산의 모든 양조장과 바를 만날 수 있다. 새로운 것을 찾는 지역민이든, 바다 도시를 탐험하는 여행객이든, 부산의 숨은 보석을 발견하고 이 문화를 만들어가는 사람들에게 건배할 수 있을 것이다.

Busan Beer Guide

So grab a friend, pick a spot on the map, and taste the best of what Busan has to offer. The scene may be small now, but with your support, it has all the ingredients to grow into something truly special.

In short: Busan’s craft beer scene isn’t about size—it’s about flavor, passion, and pride. And it’s just getting started.


그러니 친구와 함께 지도를 펼치고, 마음에 드는 곳을 찍고, 부산이 가진 최고의 맛을 즐겨보자. 지금은 작지만, 여러분의 응원으로 특별한 문화로 성장할 것이다. 결국 부산의 수제 맥주는 규모보다 풍미, 열정, 자부심의 이야기다. 그리고 이제 막 시작했을 뿐이다.

Recent Posts

By BeerPhobeNerd September 30, 2025
Discover the best Korean craft beers in 2025. From Gorilla and Art Monster to The Table Brewing Company and White Crow, explore Korea’s top-rated beers and breweries.
Beer Tasting
By BeerPhobeNerd September 29, 2025
Discover the best Busan beer bars, breweries, and Korea’s growing craft beer scene. Explore top spots, local favorites, and tips for beer lovers visiting Busan.
Belgian Beer
By BeerPhobeNerd September 24, 2025
Rethinking What It Means to Be the ‘Beer Capital of the World’: From Belgium to Japan, UK to USA, A Journey Through Beer’s Many Capitals Celebrating the Diversity of Beer Culture Across Continents
Korean Craft Beer
By BeerPhobeNerd September 13, 2025
Beer Balance and the Exposure Triangle: ABV, SRM, and IBU
Beer Food Pairing
By BeerPhobeNerd September 13, 2025
From buffalo wings to hotpot, roasted lamb to chocolate cake, discover how craft beer pairing works across cultures—and why sometimes the best pairing is no pairing at all.  페일 에일, IPA, 스타우트와 어울리는 맛을 찾아보세요. 그리고 때로는 음식을 전혀 먹지 않고 즐기는 게 수제 맥주를 즐기는 가장 좋은 방법인 이유도 알아보세요. 버팔로 윙부터 핫팟, 구운 양고기부터 초콜릿 케이크까지, 다양한 문화권에서 수제 맥주 페어링이 어떻게 적용되는지 알아보세요. 그리고 때로는 최고의 페어링이 아예 없는 경우도 있다는 사실도 알아보세요.
German Beer
By BeerPhobeNerd September 11, 2025
Same Beer, Different Package, Same Taste??? Why Packaging Matters! 같은 맥주, 다른 포장, 같은 맛??? 왜 포장이 중요할까요!
Miller Highlife
By Hutch September 10, 2025
From Disgust to Discovery: My Beer Epiphany 맥주가 당신이 생각하는 것과 다르다는 것을 깨달은 순간! 혐오에서 발견으로: 맥주에 대한 나의 깨달음